레이블이 홍준표 대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홍준표 대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2월 17일 일요일

자유한국당 당무감사와 류여해



자연의 ()는 연약한 어미에서 난다

세상은 매우 영리해지고[smart] 있지만
인간들의 野薄(야박)성에 있어서도 여린 것을 동정하는 것 같다.
자신을 내세우기 잘하는 미국 같은 나라에서도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무리들이 있으니
세상은 矛盾(모순 irony)점이 있다는 것 아니겠는가!
겸손하고 가녀린 여성이 미국 사회에서도 더 시선을 받는다.
여리고 유약한 사람들과 장애가 있는 이들을 잘 감싸 안을 줄 아는 미국이
선진국이라는 것도 습관화돼 있는 사회적 행동의 바탕일 것이다.
가녀린 여성들을 돌봐야 한다는 신사의 나라 미국을 보며
생각해본다.
여성은 가녀리고 연약해야 주위에서 더 인정해주고 있다는 것을!
한국도 그런 것은 같지 않을까?


이런 말을 잘 못하면 성차별이라는 말을 들을까 두렵기도 하지만
여성은 여성다워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다.
조물주가 그렇게 만들어 놓았는데 인간이 아니라고 한다고 뒤바꿔지지는 않는다.
한국 여성들 중 예뻐지고 싶지 않다는 여인은 얼마나 될까만
많은 여성들이 diet(다이어트)를 하는 이유도
신체적으로 여성스러워지고 싶어서 하는 것 아닌가?
얼굴을 예쁘게 성형수술 하는 일도 누구를 위해 하는 일인가?
결국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연약할 수밖에 없다.
남성이 해야 하는 힘든 일은 여성에게 격이 맞지도 않고 시켜서도 안 된다.
고로 힘을 쓰는 일에 있어서는 수월한 일을 시켜야 한다.
정신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힘든 일을 시키면
남성보다 더 많은 stress(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신체적 조건이 있는 것도
조물주의 작품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연약한 여성이 해야 하는 일에 있어서는
남성보다 월등하게 잘 해놓을 수 있으니 기왕이면 처음부터
잘 구분해서 일을 맡아한다면 더 많은 능률이 나지 않을까?
어찌됐건
여성은 여성다워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다.


사회는 사랑이라는 말을 잘 쓰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惻隱之心(측은지심)의 앞에 同情心(동정심)이란 것이 있어
사회를 부드럽게 할 수 있는 마음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런 동정심도 없다며
사정없이 나무라는 것도 다 그 측은지심에서 나오는 것 아니겠는가?
기왕이면 사랑받을 일을 해야 하는데 그에 못 미칠 때는
동정이라도 받는 것이 뭇매를 맞는 것보다야 낫지 않을까 할 때도 많다.
특별히 미운 짓을 하는 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다.
사랑을 받을 수 없다면 동정이라도 받는 것이 낫지 않는가?


류여해 자유한국당 최고위원이 뭇매도 자주 맞더니
이젠 자유한국당에서 쫓겨날 것 같은 뉴스다.
자유한국당 서초 갑 당협위원장직에서 낙제 점수를 받았단다.
55점이 커트라인인데 53.XX 점을 맞았으니 아쉽기도 할 것 같다.
펑펑 울고불고 하는 사진들이 돌아다니고 있다.
펑펑 우는 여인의 얼굴을 누가 좋아라고 할 것인가!
포항지진 당시
 류여해가 "문재인 정부에 대한 하늘의 경고다"라고 했을 때
수많을 비난이 쏟아졌던 여인이다.
얼마나 튀고 싶었으면 그랬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
그녀가 최고위원이 될 당시 하이힐까지 벗어던지며
무대에서 방방 뛰며 얻어낸 최고위원의 자리까지 박탈 당항 처지가 됐다.


제민일보도 다음과 같은 보도를 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류여해가 홍준표 대표에 의해 제거 당해 오열했다.
17일 자유한국당은
류여해를 비롯해 당무감사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의원들을 자격 박탈해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유일한 최고위원 류여해는 기자회견을 SNS로 중계,
"이런 배신은 있을 수 없다"며 홍준표 대표를 적극 비난해 화제를 모았다.
류여해는 앞서 자극적인 발언들로 홍준표 대표의 제지를 받은 경험도 있어
자격 박탈에 홍준표 대표가 개입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제민일보;2017.12.17.)


국민의당 속에도 류여해 최고위원과 닮은 이언주라는 여인이 있는 것으로 안다.
물론 자유한국당 안에도 비슷하게 닮은 여인은 더 있다.
미운 말을 잘하는 여인들이 있다.
사랑을 받지 못할 바에는 동정이라도 받을 수 있는 발언을 했으면 하는데
그 여인들은 그게 잘 안 되는 것 같다.
물론 남성들 중에서도 미움 받을 말을 잘 하는 남자들이 더 많지만
여성들이 그렇게 미움을 받을 때는 참으로 안타까워서다.


이 사람은 한국의 어머니들을 정말로 존경한다.
그 어머니들이 있었기에 한국이 그만큼 크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특히 가난을 이기며 살아오신 그 어머니들을 더 존경한다.
이따금 속이 상하실 때는 한스럽게 울음을 터트리며
산천이 그 슬픈 소리에 요동치며 덩달아 따라 통곡해 주었기에
더욱 존경한다.
그 통곡소리가 없었으면 대한민국이 어떻게 크게 성장했을 것인가!
허리끈 질끈 질끈 더 졸라매고 자식들 입에 들어가는 밥만 보아도
당신 배부르다고 하시든 그 어머니들이 있었기에
대한민국만의 세계를 빛나게 한 것 아닌가?
여리고 여린 그 손가락에 물기 마를 날 없던 그 어머니들의 손끝에서
대한민국은 성장하고 있었으니 어찌 존경하지 않겠는가!
가슴이 미어지는 그 아픔을 어찌 아니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그 어머니들의 슬픔이 있었기에 대한민국도 같이 동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모든 여성을 존중한다.


老子(노자)께서
자연의 탄생을 어미에 비교한다.
그 어미의 고통이 없었으면 ()를 낳은 자연이 없다.
우주 형성의 그 ()가 없었다면 어찌 인간인들 있었을 것인가?
그 틀을 마련해 준 그 어미의 根本(근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여성다움의 연약하고 유연한 것이 강하고 단단한 것의 근원이라 했다.
사회를 강하게 하는 것도 여리고 연약함에서 시작했으니
여성들의 섬세함이 사라지려 하고 있다면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
여성스러운 것을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누가 여성이라고 함부로 할 수 있을 것인가?
유연하고 부드럽게 세상에 알리는 것이 여성의 매력이란 말을 하고 싶다.
세상을 부드럽게 시작하는 것이 옳다고 하는 말이다.
섬세한 마음에 겸손하고 유연한 성품까지 지녔다면
무언의 雄辯(웅변아니겠는가!
남보다 튀려고 하는 것보다
사랑을 듬뿍 받을 수 있는 제안까지 할 수 있다면 錦上添花(금상첨화)!
무슨 말을 더 하려고 할 것인가!
자연의 ()는 연약한 어미에서 난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