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김오수 추미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김오수 추미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5월 3일 월요일

'文의 남자' 김오수..그는 비겁한 누구?

 

김오수가 문재인의 남자이면 잘못된 것일까?



 

파이낸셜뉴스는 ‘'의 남자' 김오수..그는 누구라는 제목을 걸고 김오수를 소개하고 있다.

()의 남자가 되면 현 사회에서 비굴한 인물이라는 뜻을 더 많이 품고 적은 것 같아 씁쓸해서 적어본다.

그게 문재인 대통령이 非理(비리)의 주권자이면 이해를 할 수 있는데 그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인간 문재인에게 결여된 게 있다면 적폐 청산하자!”라든가 개혁을 하자!” 해놓고 방관만 하고 있는 것 같은 자세를 취할 때가 이따금 나오는 것에 답답함이 없지 않아 국민들이 분통을 터뜨리는 것 외에 무슨 잘못이 있나?

더해서 국무위원 같은 중요 인사를 임명하는 데에 있어 제격이 맞지 않든지 과거 비행들이 들춰 나오는 것에 청와대가 대처할 수 없는 것 때문에 인사 관련 문제를 당하는 것 외에 또 뭐가 있는가?

솔직히 70여 년 '민주주의 정치'라는 제목[title]만 대한민국 헌법에 달고 있었을 뿐,

과거 37년 독재시대에 제멋대로의 사회가 지속되며 부패가 부패를 나으면서 가슴 속까지 상해버렸던 시절 중 청소년들에게까지 오염이 되어 관료와 공무원들이 말할 수 없이 썩었던 것을 생각하면 인사문제를 문재인 정부 탓으로만 돌릴 수 있겠나?

얼마나 깊이 인간의 기본들이 돈에 의해 상해있었으면 돈이면 다 해결 되는 것으로 초등학생들까지 돈 돈 돈하며 정신들이 돌아가고 있었을까?

지금 관료들의 인사문제에 있어 그렇게 됐던 것들이 다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는데 그것만을 탓하고 있는 것 자체가 일종 矛盾(모순)의 연속이 아닌지 우리는 스스로 가슴을 짚어 반성해야 하지 않을지?

그런 것을 잘라낼 수 있어야 할 문재인 정부가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 때문에 이 사람도 가슴을 칠 때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인간 문재인을 이명박과 박근혜 같이 돈과 권력의 시녀들처럼 동등하게 看做(간주)하려고 하는 것은 얼토당토않은 짓이 아니고 무엇일까!

인간 문재인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같은 독재정권의 주권자와 비견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못 박지 않을 수 없다.

고로 김오수 신임 검찰총장을 문재인의 남자로 표현 한 것을 김 총장은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마땅한 일이니 파이낸셜이 제목을 잘 뽑은 것 아닌가!

 

 


사회는 언제든지 모순이 따르게 될 수밖에 없다고 아무리 하더라도 참된 사람은 참된 사람이라는 것쯤은 알고 판단해야 인간으로서 세상에 대해 부끄럽지 않는 일이 될 것으로 본다.

더해서 김 총장이 검찰개혁까지 완수할 수 있는 인물이 된다면 이 또한 錦上添花(금상첨화)!

윤석열이라는 인간에게 당한 것을 생각하면 쉽게 김오수 신임총장에게 가슴을 열어 기대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파이낸셜이 이런 제목을 뽑은 것은 과거 上命下服(상명하복)이 투철한 검찰의 남자를 청와대가 뽑지 않았다는 것을 언급하는 가슴에서 나온 것 같은데 검찰개혁을 하겠다는 청와대를 기레기님께서는 끝까지 붙잡지 못한 것이 아쉽기 때문?

 

 


 

다음은 파이낸셜뉴스가 내보낸 내용이다.

[파이낸셜뉴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 후보자에 친정부 인사인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58.사법연수원 20)이 지명되면서 그의 과거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내 대표적 특수통으로 구분되는 김 후보자는 지난 2005년 서부지검 형사5부장 시절 정창영 전 연세대 총장 부인의 편입학 비리 사건 수사를 지휘하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됐다.

 

이후 2009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재직 당시 대우조선해양 납품 비리, 효성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 사건 등을 수사하면서 능력을 검증받았고, 2015년에는 처음 출범한 대검 과학수사부를 이끌며 조직 기반을 다지고 사이버테러·해킹 등 갈수록 지능화되는 첨단범죄에 대한 대응을 맡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초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감사원 감사위원, 금융감독원장 등 고위직 하마평에 여러 차례 오를 만큼 문재인 정부의 신임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인 박상기 전 장관에 이어 조국 전 장관, 추 장관과도 함께 일했으며, 현 정부의 검찰개혁 정책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는 평이다. 아울러 평소 적극적인 데다 주변과의 친화력이 좋고 지휘·통솔력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특히 김 후보자가 김 전 차관 불법 출금 의혹을 비롯해 월성 원전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과 청와대 기획사정 의혹 등 정부 겨냥 수사를 여권에 피해가지 않는 선에서 봉합 할 것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검사장 출신 한 변호사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다음으로 친정부 성향인 김 전 차관이 당연히 총장에 임명될 수순 아니였겠냐""김 전 차관만한 인물이 여권에 없기 때문에 청와대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에서 최종 후보군 4명을 정할 당시 김 후보자가 가장 적은 지지를 얻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배경에는 검찰 내 신망이 높지 않다는 평가가 한 몫 했다. 차관 재직 때 법무부와 대검찰청 사이의 갈등을 제대로 중재하지 못하고 정부 편에 섰다는 내부 비판이 적지 않다.

 

특히 조국 전 장관 수사 때는 대검찰청에 윤 총장을 배제한 특별수사팀을 제안해 후배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일선 검사들 사이에서 '법무부 5' 1명으로 꼽히는 등 갈등을 빚기도 했다.

 

최근에는 김 전 차관의 불법 출금 의혹 사건의 피의자인데도 검찰의 출석 요청을 수차례 거부하다가 서면 조사에 응했다. 그는 20193월 이 사건이 벌어질 당시 차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수도권 검찰청의 한 부장검사는 "김 전 차관이 검찰과의 소통 보다는 여권의 입장만 대변하는 역할을 하다보니 후배 검사들의 신망을 잃은지 이미 오래 됐다""김 전 차관이 총장으로 지명된 소식이 전해지자 후배 검사들이 망연자실하고 있다"고 했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https://news.v.daum.net/v/2021050317473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