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 16일 토요일

한국 축구수비는 아이슬란드에게 배워야!



아이슬란드의 철통 수비를 배우자!

FIFA Ranking(피파 랭킹) 5위 아르헨티나(Argentina) 선수는 물론이거니와 살아있는 축구의 전설이라고 하는 Lionel Andres Messi(리오넬 메시)조차 Iceland(아이슬란드)의 11명 수비에 막혀 맥도 못 추고 주저앉고 말았다.
아주 멋진 경기는 아니었어도 배워야 할 것이 없지 않아 좋았다.
전반전은 보지 못하고 후반전만 보았지만 아이슬란드 선수들을 보며 만감이 스치게 한다.


축구공이 아무리 둥글어도,
축구는 ()이 따른다고 해도 실력이 없으면 무너지고 만다.
아이슬란드가 피파랭킹 22위면 세계에서 잘하는 팀에 들어간다.
대한민국 57위 보다 월등하게 잘한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아이슬란드가 World cup(월드컵본선 진출은 처음이라고 했다.
인구 겨우 338,000명의 작은 나라(세계 108위 크기의 땅아이슬란드는,
인구 5,180만 명의 작은 나라(세계 109위의 크기의 땅)의 대한민국 땅 크기보다 1단계 위에 작은 땅이지만 인구밀도는 광활하게 넓기 때문일까?
신장도 크고 좋았다.
아이슬란드 선수들이 반칙을 하기는 했지만 지나치지 않게 하면서도 강력한 체력을 바탕으로 조직력[team work(팀워크)]이 좋았다.
아르헨티나와 싸워 1:1 무승부를 냈다는 것은 끈질긴 근성이 없었으면 이루지 못하는 일이라고 본다.


Sports(스포츠)는 국가의 명예도 전파해주기 때문에 그 힘은 대단하다.
아이슬란드 11명 선수는 중앙선을 넘어 아르헨티나 쪽으로 넘어가는 빈도는 빈약했다.
맹공을 펼치는 알젠틴 선수들을 막아내기가 쉽지 않아서다.
하지만 상대 팀이 여유를 부리며 허점을 보일 때는 가차 없이 아르헨티나 골까지 치고 들어가 예리하고 강력한 shooting(슈팅)까지 날리고 만다.
잠시 아주 잠시 관중들의 환호소리에 맞춰 카메라가 군중심리까지 보여준다.
후반 19분 경 메시(아르헨티나)가 날린 penalty kick(페널티 킥)을 골키퍼 하네스 할도르손(아이슬란드)이 막아내자 어떤 관객은 앉아있던 자세에서 뒤로 자지러지는 상황 극을 벌리는 것까지 보여줄 정도?
오늘 우리는 아이슬란드를 배우고 있는 중이다.


Viking(바이킹)족의 후손이라서 일까?
저들의 민족성은
노르웨이 바이킹족과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켈트(Celts)족의 후예라고 한다.
바이킹과 켈트족을 두고 싸움을 즐기는 好戰的(호전적)인 민족이라고 한다.
아이슬란드 선수들이 방어하는 자세는 남달랐다.
수비를 치밀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상대선수의 向方(향방)을 잘 읽어야 한다.
상대가 어디로 어떻게 공을 날리고 몸을 어떻게 움직일 것이라는 方向(방향)을 아이슬란드 선수들은 미리 잡아내어 파악하고 있었다.
아르헨티나 선수들을 완전 장악하여 그 선수 앞길까지 봉쇄한 것이다.
아무리 철통수비를 해도 우리 선수들로부터 보지 못했던 점이다.
쉽게 말해 아이슬란드 선수들은 눈치가 백(100)이다.
상대가 무슨 짓을 어떻게 할지 순간적으로 미리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르헨티나 선수가 수비벽을 뚫을 수 없었던 것이다.
어찌됐건 아이슬란드 선수들의 진가는 폭등하지 않을까?
앞으로는 축구의 수비라고 하면 아이슬란드라는 국가 이름이 기억나지 않을까?
한국 국민들이 많은 응원을 보낸 때문인가?
인구 34만 명도 안 되는 나라가 축구는 강국이라는 것도 배워 좋았다.



연합뉴스는
‘-월드컵- '메시의 PK 막은아이슬란드아르헨과 1-1 무승부라는 제하에,

 

살아있는 지리 교과서는
[세계로 떠나는 여행아이슬란드얼음의 땅인가 불의 땅인가?라는 제목을 걸고,
'얼음 땅아이슬란드는 북대서양 한가운데에 위치한 고립무원의 섬나라이다나라의 이름을 반영하듯 해안에는 톱니 같은 피오르 해안이 발달해 있고섬의 중앙부와 동쪽 일부는 빙하로 덮여 있다피오르 해안은 빙하 침식곡 때문에 발달한 것이다아이슬란드는 빙하와 추운 기후 때문에 국토의 대부분이 불모지이다.

지질학적으로 볼 때 아이슬란드는 최근에 생겨난 섬이다아이슬란드는 대서양 중앙해령이 지나는 곳에 발달한 열점에서 화산이 폭발하면서 만들어졌으며이 때문에 활화산이 많다. 2010년에는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이 폭발하여 유럽에서 항공 대란이 발생하였고, 2011년에도 폭발 규모는 작지만 다른 화산이 폭발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로 떠나는 여행아이슬란드얼음의 땅인가 불의 땅인가? (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2011. 8. 29., 휴머니스트)


대한민국 외교부는 아이슬란드(Iceland)를 다음과 같이 논술했다.
아이슬란드의 정식 명칭은 아이슬란드공화국(Republic of Iceland)이다.
국토의 약 79%가 빙하호수용암지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면적은 10만 3,000로 한반도의 약 1/2이다. 2011년 10월 기준 아이슬란드 인구는 31만 9,090명이고인구밀도는 3.1/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수도는 레이캬비크(Reykjavik)이며레이캬비크 인구는 11만 9,000명이다기후는 한랭하다여름 평균 기온은 10겨울 평균 기온은 1이다.

아이슬란드인은 노르웨이 바이킹족과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켈트족의 후예이다아이슬란드인이 국민의 94%를 차지하고나머지 6%는 동유럽과 서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다옛 노르웨이어에 가까운 아이슬란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덴마크어도 사용한다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영어 구사 능력이 높아 영어로 의사 소통하는 데 지장이 없다.
 
아이슬란드는 루터교를 국교로 삼고 있다루터교 81%, 레이캬비크자유교회 2.1%, 가톨릭 2%, 기타 14.9%이다.

정부 형태는 내각책임제이며의회는 단원제이며 의석수는 총 63석이다. 2012년 3월 현재 사회민주연합당(20)과 좌파녹색당(14)이 연립정부를 이루고 있다야당으로는 독립당(16), 진보당(9), 시민당(The Movement, 3)이 있다그리고 무소속이 1석을 차지하고 있다국가원수는 올라퓌르 라그나르 그림손(Olafur Ragnar Grimsson) 대통령(무소속)이며총리는 사회민주연합의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Jóhanna Sigurðardóttir)외교부 장관은 사회민주연합의 오수르 스카르페딘손(Össur Skarphéðinsson)이다.

2011년 기준 주요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126억 달러이고, 1인당 국내총생산은 39,025달러이다참고로 2008년 10월 경제위기 이전인 2007년에는 1인당 국내총생산이 65,641달러였으며, 2008년에는 52,535달러였다경제성장률은 -4.0%(2010년 대비)인데, 2007년에는 6.0%, 2008년 1.0%였다실업률은 2011년 3분기 기준 5.9%. 2010년에는 7.6%, 2008년에는 1.6%였다.

교역 규모는 총 84억 달러로 수출 46억 달러수입 38억 달러이다주요 교역국은 영국독일네덜란드덴마크미국노르웨이 등이다화폐 단위는 크로나(Krona, 복수 형태는 Kronur)이며통상 아이슬란드크로나(Icelandic Krona, ISK)로 표시한다. 2012년 7월 기준, 1미국달러(USD)는 125.61아이슬란드크로나(ISK)이다.
 
아이슬란드는 1945년에 국제통화기금(IMF)1)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2)에 가입, 1946년에는 국제연합(UN)3), 1949년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4)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5)에 가입하였다. 1950년에는 유럽회의(Council of Europe), 1952년에는 북유럽협의회(Nordic Council), 1956년에는 국제금융공사(IFC)6) 1961년에는 국제개발협회(IDA)7), 1964년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8), 1970년에는 유럽자유무역연합(EFTA)9), 1993년에는 유럽경제지역(EEA)10)에 가입하였다.

아이슬란드의 독립기념일인 6월 17일은 국경일이다아이슬란드는 1944년 6월 16일 덴마크와의 연합에서 탈피 후 6월 17일 독립하였다.

아이슬란드는 별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북대서양조약기구를 통해 방위 및 안보체제를 유지하고 있다한국과는 1962년 10월에 수교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아이슬란드 [Iceland] (아이슬란드 개황, 2012. 3. 20., 외교부)

 


원문 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