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30일 토요일

피할 수 없는 북한도발 속의 추석은?



잠재된 북한도발과 벅찬 추석명절?

중국을 방문하고 있는
렉스 틸러슨(Rex W. Tillerson) 미국 국무장관은 30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의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살펴보고 있다그러니 지켜봐 달라"
 "북한과 소통 라인을 가지고 있다.
블랙아웃 같은 암담한 상황은 아니다"
"북한과 두세 개 정도의 채널을 열어 두고 있다."고 하며
북한이 대화를 할 의사가 있는지 알아보는 중이라고 했다.
미국도 북한과 대화를 하겠다는 의지를 더 강조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편 SBS는 이번 추석 명절 중 북한이 또 도발할 가능성도 있다는 보도를 한다.
발 펴고 살 만한 세상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불안감도 잠시일 뿐
가족들과 만나면 오손도손 얘기꽃을 피우게 될 것이다.
아무리 숨막히는 세상을 산다고 할지라도 숨은 고르게 쉬어야 살아있는 동안
마음이 편할 것 아닌가?
미국 LA타임스도 북한도발에 한국인들은 시큰둥하다는 보도도 했다.
LA Times만 그렇게 보도를 한 것이 아니라
웬만한 기자들은 한국인은 북한이 도발을 해도 무덤덤하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숨막혀서 살 수 없으니 그런 것을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그렇다는 것 아니겠는가?

 

문재인 대통령도
아무렇지 않게 명절선물을 내렸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꾸준히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와 사회 통합을 강조해온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추석명절을 맞아 준비한 명절선물은
경기 이천 햅쌀과 강원 평창 잣경북 예천 참깨충북 영동 피호두,
전남 진도 흑미 등 특산물 5종 세트로 결정됐다 한다.
농협중앙회 평가단의 품질우수 추천을 받은 국내산 농산물로만 꾸렸다는데
선물 발송 대상자 규모는 전임 정부와 큰 차이가 없이 1만 명 안팎이지만
취약 계층과 유공자에 대한 비중을 획기적으로 늘렸다고 한다
그 선물로 꾸려지게 된 지역 안배라든가
농산물의 뜻이 담겨 있어 문재인의 정치철학도 깃들여 있다한다.


구정과 함께 추석명절은 한국과 중국인에 대해서 대단한 명절이다.
물론 북한도 추석을 지내는 것으로 안다.
북한도 추석을 세면서 정말로 또 도발을 할까 하는 생각도 한다.
그러나 한국은 자그마치 10일 간의 긴 휴가를 즐기기 때문에
SBS도 북한 도발 가능성을 보도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미국 Tillerson 국무장관도 북한이 대화체널에 나오기를 바라고 있으니
불원간 북한이 그에 응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북한이 도발에 도발을 계속 이어가는 것 같지만
북한의 핵무장은 아직도 미완성 작품이기에
시험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열악한 과학기술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
어느 정도 그 臨界(임계)점에 다다르게 됐다면
북한이라고 마냥 쏘아붙일 것인가?
제아무리 제 욕심만 차리는 김정은 이라고 해도
북한 주민들이 먹고 살아야 할 밥과 양식을 쓸데 없이 난발 할 것인가?


김정은이 집권이후 지금까지
77번의 미사일 도발과 3차례 핵실험을 했다.
그 액수가 얼마인지 확실치는 않겠지만 북한 실정으로 볼 때
어마어마한 액수라고 본다.
북한이 미사일 한 발을 쏘아 올릴 때
우리도 현무2A를 쏘아 올릴 때 한 발에 20억원이 들어간다고 했다.
북한이 발사하는 화성 12형은 중장거리용으로
쵀대사거리 3,000~4,000km이고,
화성14형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이다.
거리가 멀수록 그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인데
북한 김정은이 집권한 69개월 동안 한 달에 한 번 꼴 이상으로 쏘았으니
그 비용만 해도 북한 주민은 飢餓(기아상태가 되지 않았을까?

 

북한은
이번 추석에 이팝에 고기국커녕
강냉이 죽이라도 제대로 끓여 먹을 수 있을 것인가?
물론 김정은과 미사일을 쏘아 올려 특혜를 받는 집단들은
제대로 배를 퉁기고 있을 것일 태지만말이다.
철없는 김정은 때문에 다리 펴고 잘 수도 없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북한에는 기아로 죽는 이들도 퍽이나 많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고
북한의 고집을 인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대화를 하지 않으려 하니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미국도
적잖은 고통이기기는 마찬가지일 것!
암울한 세계를 어서 빨리 탈출해야 하지 않겠는가!


원문보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