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박영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박영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2월 11일 금요일

윤석열 거짓말 토론회가 대선 토론회?


 70이 넘은 내 나이가 부끄럽구나!

 

<피치>라는 ID소유자가

어르신들.... 살 날 얼마 남지 않았다고 이상한 사람 찍지 마세요.... 우리도 살아야죠.”라는 글을 보니 만감이 교체되는구나!

https://news.v.daum.net/v/20220211220300914

매일경제

윤석열 "대장동 8500억 어디갔나"..이재명 "검사가 왜 그러나" [대선후보 토론]’의 다음 포털의 추천댓글에서 보았다.

 

 

찾아보다 보니 알게 됐지만 일찍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1920년대 중반 곤대짓에 대한 보도를 했다고 나무위키는 적고 있다.

아마도 그 당시 성행하기 시작한 말이 내가 중고등부 시절 꼰데라는 말로 제 유행하기 시작하는 것을 지켜볼 수 있었지 않았나싶다.

그 당시는 그 말이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뻣뻣하게 점잔빼며 강압하는 어른들을 향해 쓰는 나쁜 말로만 이해하고 넘어왔다.

이제 알았지만 그 말은 일제강점기 당시 벼슬아치들에게 아부해 쓰던 말인데,

스패니쉬나 이탈리아어로 Conte(콘테) 백작(또는 백작의 땅)’의 의미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프랑스어로는 Comte(콩뙤)의 발음이 나오는 것을 일본인들의 꽁데[コンテ]’라며 쓰던 것을 그들이 못된 짓을 하면 빗대어 쓰던 것 같다.

아이들은 자신의 아버지나 교사까지 밉게 생각할 때 쓴 것이라고 이제야 이해한다.

 

 

1963105대 대선과 4년 후 19675월 제7대 대선 당시 色魔(색마) 박정희 유신독재자는 시골 선거투표장 근처에 막걸리 통과 고무신을 쌓아두고 노골적으로 선거에 참여했다며 여자들에게는 고무신을 주고 남자들에게는 막걸리 사발을 돌리곤 했다.

말은 먼 거리 오느라고 수고했다며 막걸리를 퍼주고 있었지만 박정희를 찍어달라는 것과 다르지 않았으니 선거 날이면 술이 곤드레만드레 된 남자들까지 있었고 어린 나이에 바라보는 어른들의 위상이 얼마나 깎여나가고 있었을지 상상할 수 있지 않는가?

민주당 후보들은 선전을 했지만 단 한 번도 당선 된 적이 없다.

4.19 학생혁명 이후 민주당이 당선 된 것 외에 1990년대에 와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처음이다.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아버지들이 무슨 일을 벌였는지 빤히 알게 된 아들들의 가슴에 멍울이 어리기 시작해 간다.

학교에 가면 친구들 말이 맞는데 집에만 오면 아버지의 말씀이 맞아떨어지던 그런 시절이었으니 어찌 꼰데라는 소리를 하지 않을 수 있으랴!

그 당시 아버지는 곧 집안의 우두머리이고 법이었으니 이따금 호령이 떨어질 때는 그 앞에서 어쩔 수 없지만 친구들끼리 만나면 꼰데라는 단어를 쓰는 것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했던 그런 시절을 어찌 잊으랴!

그런 그들이 지금은 다 7~80대 노인이 됐지 않는가!

그때 아버지로부터 가슴에 멍울을 달고 커왔던 그 노인들은 지금 과거를 다 잊고 살아가고 있단 말인가?

왜 이처럼 긴 세월이 흘렸고 아버지 세대에서 배우지 못한 것까지 다 배웠다는 인간들이 꼰데의 대물림만 그대로 받으려하는 것인가!

 

 


윤석열과 박영수의 합작을 이재명에게?

 

국민의힘(국짐당; 거짓말을 입에 달고 다니며 교묘하게 자신들의 죄를 남에게 넘기지 않으면 국민의힘 의원들이 아닌 국민의짐 당) 윤석열 후보자(이하 윤석열)은 귀와 눈을 장식품으로 달고 다니는 인간이란 말인가?

검찰들이 그 돈이 어디 있는지 빤히 알면서 본인 앞에서 실실거리며 죄를 떠넘기려고 해?

박영수 전 특검의 딸에게 돈이 넘어갔다는 게 밝혀졌고,

곽상도 국짐당 전 의원의 아들 앞으로 50억 원을 퇴직금을 빙자하여 뇌물로 준 것이 확실하게 들어나고 있는데도 국민들 앞에서 이재명에게 덮어씌우려고 하는 것을 보는 국민들의 피는 거꾸로 돌고 있다는 것을 윤석열이 모르고 한다는 말인가?

오직하면 ‘(윤석열은) 거짓말 하느냐?’라고 말을 하고 말았을까?

뻔뻔해도 이정도면 정신 나간 인간으로 보이는데 이런 자를 계속 국짐당 후보로 인정해야 한단 말인가?

정말 대한민국은 답 없는 나라구나!

검찰공화국 되면 대한민국에 살지 못할 국민들 참으로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간다.

훔치고 사기치며 도둑질 한 인간들만 그 나라에서 살아 갈 것 같은 느낌만 간다.

온순하고 제 정신이 박힌 사람들이 세상이 두려워 어떻게 살라는 것인가!

4자 토론회를 보며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떻게 하면 억지주장해서 상대를 잘 거꾸러뜨리는 사람이 이기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것인가!

대통령 선거 토론회가 아니라 초중고 토론회 같다는 생각이다.

무슨 놈의 토론회가 말 좀 들으려면 잘라버리는 토론회?

후보자의 의견을 내세워야 할 시간에 잘라버리는 말도 안 되는 토론회!

윤석열을 위해 마련한 토론회!

거짓말을 해도 주위에서 단 한 명도 저지하고 나서는 사람 없는 비굴한 토론회!

1야당 토론자가 거짓말 하는 것만 바라봐야 하는 어치구니 없는 토론회!

그러고도 한국기자협회토론회라고 할 수 있는가?

비굴하고 하찮으며 더러운 대한민국 기자들뿐이다.

이런 식의 토론회는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는 토론회!

정말 한심하더라!

나라 망신은 더러운 기자들이 다시키는 것 같다.


참고;

https://namu.wiki/w/%EA%BC%B0%EB%8C%80

 

2021년 9월 25일 토요일

화천대유는 절대 이재명 것이 아닙니다?


 화천대유는 누구의 것입니까?

 

 


화천대유라는 단어가 각 언론사마다 수없이 난무하면서 20대 대선은 국민의힘(국짐당; 국민은 정확하고 바른 정치인들을 원하고 있는데 반해 어떻게 하든 국민을 속이기 위해 자신들의 과거 행적까지 속이는 국민의 짐이 되는 당)이 거꾸러지기 일보 직전까지 온 것 같다,

국짐당의 근본은 전두환 5.18광주학살자가 근원적인 首魁(수괴) 아니라 그 이전 色魔(색마) 박정희 유신독재자 시대부터 이끌어져오던 정치꾼들의 영향에 의해 지금껏 그 명맥이 국짐당까지 이어온다는 것은 알만 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 아닌가?

국짐당이 국민들을 어떻게 하든 속이고 정권을 탈취하기 위해(국민의 금 쪽 같은 한 표를 빼앗기 위해) 자신들의 선배 기득권이 뿌린 악의 씨앗을 여권 최고 지지자인 이재명 후보자(이하 이재명)에게 덤터기를 씌우려하다 逆反應(역반응)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니 이건 국짐당이 불러온 최악의 사건이 될 확률이 크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하 윤석열)이 현역 시절 고발사주한 것을 어떻게 하든 화천대유로 감춰 볼 생각이었는데 진실은 단 한 달도 못가 국민들이 국짐당의 잔꾀를 알아차리고 말았으니 바로 역반응은 저들의 가슴에 명중되어 고꾸라지고 말 것이다.

하늘 위위 불이 크게 존재하니 군자의 화합이라는 火天大有 卦(화천대유의 괘)’라는 주역에서 따온 단어로 회사명을 지었으니 상상을 초원한 이익금을 얻었을까?

실재 내막에는 자본금 3억 기천만원은 회사를 설립하면서 들어간 자본금에 불과하고 SK와 연계된 것으로 내다보면서 최소한 3백 기십 억 원이 투자된 것으로 나오고 있으니 많은 이익금은 얻어냈지만 서류상에 들어나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을 열린공감TV는 열심히 보도하고 있다.

더구나 대단히 유명한 법조계 인사들까지 4~5{권순일 전 대법관, 김수남 전 검찰총장, 박영수 전 특검, 자문 변호사 강찬우 전 검사장 등}을 기용한 화천대유가 기억원의 자본금만으로는 어림도 없다는 평가인 것을 본다면 풍문과 실제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말이 나온다.

좌우간 화천대유가 성남 대장동을 개발하여 국짐당과 연관된 이들에게 적잖은 특혜가 돌아간 것으로 나오는 것으로 봐선 화천대유를 가볍게 넘길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래도 야권이 언급하고 있는 이재명 지사의 것은 아니라는 것은 확실해져가고 있는 중이다.

 


 

JTBC

화천대유 '300억 종잣돈' 댄 익명 투자자는 SK 최기원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냈다.

결국

국짐당의 기득권세력으로부터 이재명이 5000억을 뺏어서 성남시민들 손에 쥐어준 사건이라는 것으로 판명이 나고 있다.

지금껏 작은 시의 시장이 시민을 위해 그처럼 열심히 뛰어다녔다는 보도를 낸 언론들은 단 한 곳도 없었는데 이제야 그런 사실을 국민이 알게 된 게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고로 화천대유는 이재명을 띄워준 회사이니 이재명과 각별한 인연이 있는 것은 틀리지 않으며,

이명박이 대통령 직을 끝낼 때까지 숨겼었던 다스(DAS) 같은 사건과는 그 성질이 사뭇 다르다는 것을 국민들은 온전히 느끼고도 남았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국짐당은 추석 명절을 기해 지방 각처에 화천대유는 누구의 것입니까?”라는 플랫카드를 펼쳐들고 다스(DAS)는 누구의 것입니까라고 했던 것처럼 국민들을 기망하려고 하다 국민들에게 딱 걸리고 만 셈이다.

결국 국짐당은 윤석열 고발사주 의혹을 때내려고 마구잡이로 덤비다가 이재명만 더 유명하게 만들고 말았으니 안타까워 어떻게 하나?

이렇게 될 수 있게 기획을 한 월간조선을 비롯해서 사이비 언론의 元祖(원조) 격인 조선일보의 방씨 일가들도 얼마나 땅을 치며 통곡의 눈물을 머금고 있을지 보지 않아도 그 명장면들이 환하게 그려지며 스치고 있지 않는가?

그 기회를 덩달아 따라가며 국짐당에 힘을 잔뜩 실어주던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왕수박인 이낙연 예비후보자(이하 이낙연)도 낙동강 오리알이 될 날은 그렇게 길지 않은 것 같다.

 



민주당 대권후보자 경선 호남의 1번지 광주·전남 지역 순회 경선에서 이낙연이 1등으로 석권을 했다고 이낙연을 띄워주려고 하지만 그 표차는 새 발의 피나 될까?

{이낙연이 33848(득표율 47.12%)1위에 이어 이재명 지사(33726, 46.95%),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3113, 4.33%), 박용진 의원(471, 0.66%), 김두관 의원(677, 0.94%) }

전남 도지사까지 역임했던 곳에서 아주 근소한 표 차로 이겼다는 것은 그만큼 그를 신임할 수 없다는 도민들이 많다는 말이 아니고 무엇인가?

이재명 지사는 성남은 물론이고 경기도민의 지지를 받아내면서 전국적으로 그 사실들이 확산되고 있는데 반해 이낙연은 그동안 한 일이 거의 없이 그냥 저음을 내리깔고 입으로만 얻어낸 것 말고 없다는 것 아닌가?

총리를 할 때도 당 대표를 할 때도 그의 행동은 문재인 정부가 성장할 수 없는 쪽에 무게를 두었고{홍남기 당시 국무총리 국무조정실장의 의견에 맞춰 다주택보유자들에게 막대한 이득권을 주어 코로나시대에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은 () 실패}

 


 

 

더구나 광주 전남 경선 투표율까지 저조한 것으로 나오는 이유는 이낙연을 기피한 선거인단들이 적잖았다는 이유가 아니고 무엇일까?

물론 정세균 전 총리에게 몰아줄 대의원들과 권리당원들이 모조리 기권을 했다는 설도 틀리지는 않겠지만!

광주가 자신의 정치기반도 아닌 이재명에게 적지 않은 표가 돌아갔다는 데에 이낙연의 입지는 끝난 것처럼 보이는데 아직도 기대 섞인 말을 하고 있는 게 비웃음만 짓게 하지 않는가!

전주와 전북을 내일 열어볼 것이지만 누구나 하는 말은 이재명의 승리가 될 것으로 점치고 있으니 이낙연은 끝장이 난 것 같지 않나?

말보다 행동이 앞서지 않는 사람은 이처럼 큰 실패가 따른다는 것을 우리는 교훈삼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글을 적으면서 잊은 것이 하나 있다면 총선 1번지 종로 지역구 국회의원 직까지 개밥의 도토리처럼 생각하며 내던지며 이낙연은 대권욕에 사로잡혀 눈이 뒤집히고 말았는데 그게 되돌아가서 이낙연의 대권욕심은 개밥의 도토리가 되어 영원히 그의 밥그릇 한쪽에 굴러다니며 뭇사람의 회자거리가 될 것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낙연이 던져야 할 것은 대권욕이었는데 국회의원 직을 던질 때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코웃음을 치고 있었다는 것을 그와 그를 보좌하는 참모들만 모르고 있었던 것 아닌가?

멍청한 사람 옆에 있으면 같이 멍청해지고 미친 인간 옆에 있으면 같이 미치게 된다는 것을 그들도 이제 교훈을 삼았으면 하는 바이다.

그래도 종로 국회의원직 내던진 덕택으로 미미하지만 광주 전남에서 1등까지 했다는 사람들이 있으니 정말 拍掌大笑(박장대소)할 일 아닌가싶다.

이낙연이 화천대유를 가지고 국짐당처럼 이재명을 공략하지 않았다면 광주 전남 표는 얼마나 더 차이가 났을까하는 생각도 해보지 않을 수 없구나!

화천대유는 절대 이재명 것이 아닙니다!

 

 


참고

https://news.v.daum.net/v/20210924200705156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662